직장인이라면 매년 초 '연말정산'을 합니다.
전년도 보수총액이 확정되면, 이를 바탕으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적용해 최종 세금을 정산하는 것이 연말정산이라면,
비슷한 이유로, 매년 4월에는 건강보험료 조정이 이루어집니다.
🩺 4월 건강보험료 정산, 왜 부과되나요?
📌직장의 회계 담당자는 4대보험 사이트에서 직원의 보수를 신고 합니다.
1️⃣급여가 변경된 경우
기존 직원의 급여가 바뀌면, 4대보험사이트를 통해 '월보수변경신청'을 합니다.
신규 입사자의 경우에는 4대보험 취득신고시 '월보수액'을 함께 신고합니다.
2️⃣전년도 임금은 매년 초 신고
매년 1월~3월 사이, 전년도 실제 임금에 대한 '보수총액신고'를 합니다.
이때, 연차수당, 상여금,각종수당을 합산하여 전년도 연간 보수 총액을 신고 합니다.
📌 건강보험 공단에서는
4대보험 사이트에 신고된 '월보수' 금액과 '보수총액'의 차액에 대해
이를 반영한 정산보험료를 매년 4월에 고지합니다.
📌 급여 외 소득이 있다면?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매년 국세청으로부터 ‘소득 자료’를 전달받습니다.
이 자료에는 개인의 종합소득세 신고 내용이 담겨 있어서, 급여 외 소득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급여외 추가소득이 있다면, 이 금액도 포함하여 정산하게 됩니다.
💰 어떤 소득이 추가로 반영되나요?
· 상여금, 성과급등 일시적인 수당
· 임대소득
· 이자, 배당, 연금,주식양도소득
· 프리랜서나 부업으로 벌어들인 수입
💡 정산 보험료, 어떻게 납부하나요?
4월 한 달에 일시납이 원칙이나,
다만, 추가 보험료가 매월 납부하는 보험료보다 클 경우,
사업장을 통해 최대 12회 분할납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분할되지 않기 때문에 유의해야 합니다.
📊 실제 사례로 알아보는 건강보험료 정산
사례 1: 임금 인상으로 인한 추가 납부
- 상황: 김 대리는 2024년 월급이 300만 원인데, 연차수당, 상여금, 각종수당으로 월평균 350만 원을 받았습니다.
- 정산 결과: 2024년 동안 실제 받은 총 보수는 4,200만 원이지만, 건강보험료는 월급 기준으로 부과되어 총 3,600만 원에 해당하는 보험료만 납부했습니다.
- 추가 납부: 차액인 600만 원에 대한 보험료를 2025년 4월에 추가로 납부해야 합니다.
사례 2: 임금 감소로 인한 환급
- 상황: 이 과장은 2024년 중반에 육아휴직을 사용하여 월급이 일시적으로 줄었습니다.
- 정산 결과: 실제 받은 총 보수는 3,000만 원이지만, 건강보험료는 휴직 전 월급 기준으로 부과되어 총 3,600만 원에 해당하는 보험료를 납부했습니다.
- 환급: 초과 납부한 보험료에 대해 2025년 4월에 환급을 받게 됩니다.
🩺 5월 건강보험료 금액은 얼마?
👉 5월부터 부과되는 보험료는 기존에 신고되어있던 "월보수"금액에 의해 부과됩니다.
✅ 4월 건강보험료 정산은 전년도 보수 변동을 반영하여 보험료를 조정하는 절차입니다.
건강보험료 정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거나,
사업장의 인사 담당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Q: 건강보험 정산금은 어떤 기준으로 발생하나요?
A: 전년도 소득과 기존 납부 보험료 간 차이에 따라 산정됩니다.
Q: 5월 급여에서 공제될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A: 사업장 또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Q: 지역가입자도 4월에 정산 대상인가요?
A: 예, 소득 변동이 있을 경우 지역가입자도 정산 대상입니다.
Q: 정산금 환급은 언제 이루어지나요?
A: 환급 신청 후 보통 1~2개월 내 지급됩니다.
Q: 정산 내역에 이의가 있을 경우 어떻게 하나요?
A: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이의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Q: 추가 고지된 연말정산 보험료가 부담되는데, 분할납부 신청이 가능한가요?
A: 추가로 납부해야 할 보험료가 당월 보험료의 100분의 100이상인 경우 사업장의 사용자를 통해 공단에 분할납부 신청이 가능합니다.
Q: 정산보험료 분할횟수를 변경할 수 있나요?
A: 분할납부 신청 이후 분할 횟수 변경을 원하는 가입자는 사업장 사용자의 신청에 의해 12회 이내에서 분할횟수 변경 가능합니다.
Q: 정산금 환급은 언제 이루어지나요?
A: 환급 신청 후 보통 1~2개월 내 지급됩니다.
Q: 정산 내역에 이의가 있을 경우 어떻게 하나요?
A: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이의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돈 되는 정보 모아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날 선물 추천! 취향별, 예산별, 트렌드 고려한 선물 선택 꿀팁 (0) | 2025.04.24 |
---|---|
“치킨 뼈에 살 붙어 있었어요” → 과태료 10만 원?💣 종량제 파파라치 (0) | 2025.04.23 |
장애인을 위한 상속세·증여세 감면 제도, 쉽게 알아보기! (0) | 2025.04.22 |
"이사하는 날, 왜 관리비가 평소보다 많이 나올까?" (0) | 2025.04.15 |
연말정산 했으니 끝? 직장인도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할 수 있어요! (2)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