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되는 정보 모아 봄

정부지원금 480만 원 받는 방법? 2025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 핵심 요약!

볼빵빵한 다람쥐 2025. 4. 6. 11:02

청년 채용 지원제도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이  2025년에는 II형이 신설되어,

청년 근로자에게도 혜택을  제공해 사회 전반의 고용 안정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신청 조건부터 절차까지 꼼꼼하게 살펴보겠습니다.

고용노동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1.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이란?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은 만 15세~34세 미취업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중소·중견기업에게

정부가 인건비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며, 기업은 청년 고용 시 최대 1년간 장려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목적은 청년층의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과 기업의 인력난 해소입니다.

청년에게는 안정적인 직장을, 기업에게는 고용 부담 완화를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2025년에는 더 많은 청년층이 해당 제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조건이 완화되었습니다.

직업훈련, 인턴십과 병행할 수 있는 연계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2. 2025년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유형 

2025년에는 사업 참여 가능 기업 기준이 확대되었습니다.

신청 가능한 청년 나이 범위가 기존보다 넓어졌습니다.

장려금 최대 지원금액이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기업의 행정 절차 간소화를 위한 전자 신청 시스템이 강화되었습니다.

직무 교육 연계 시 추가 인센티브 제공 항목이 신설되었습니다.

고용유지 조건을 충족한 기업에는 인센티브가 추가로 제공됩니다.

 

I유형사업주에게만 720만 원을 지급하고,

II유형은 사업주에게 720만 원, 근로자에게도 480만 원을 지급하도록 2025년에 추가되었습니다.

3. 사업자 참여 조건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우선 지원 대상 기업이 취업 애로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 후 6개월 이상 고용 유지할 경우

1인당 60만 원씩 12개월(총 720만 원) 을 기업에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피보험자 수의 50%까지 지원됩니다.(N명 채용시 N명X720만원)

 

5인 미만 기업이라도, 지식서비스산업·지식서비스산업·문화콘텐츠산업·신재생에너지산업 관련 업종, 청년 창업기업,

미래 유망 기업, 지역 주력산업 등에 해당하는 기업은 청년 일자리 도약장려금 사업의 참여를 통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4. 청년 근로자 지원 조건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인 취업 애로 청년이 대상입니다. 

취업 애로 청년 조건 중 1가지 조건만 충족되어도 해당됩니다.

고용보험 미가입 기간이 4개월 이상인 청년이 대상입니다

고졸 학력자가 대상인데, 대졸 예정자는 제외입니다.

대졸 후 재취업하는 청년이라면 직전 회사 퇴직  4개월 이후 취업하면 되고,

최초 취업이라면 국민 취업지원 제도 등에 참여한 후 최초로 취업하는 경우입니다. 

 

5.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혜택

기본적으로는 기업이 받는 제도에서

2025년부터는 청년도 장기 근무 시 인센티브를 최대 48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5인 이상 근로자를 고용한 빈 일자리 업종에 해당되는 회사여야 합니다,

빈 일자리 업종이란 제조업/조선업/뿌리산업/보건복지업/해운업/수산업 등 10개 업종입니다

(표준산업분류 11차 기준 대분류가 'C.제조업' 기업)

※ 뿌리산업: 주조,금형,가공,용접,표면처리,열처리.정보통신 등 국가기간산업

 

근로자 계좌에 바로 입금되는 청년 일자리 장려금을 받으려면 최소한 2년은 근무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18개월 재직했을 때, 240만 원입금되고, 24개월 재직했을 때 한 번 240만 원이 입금됩니다.

 

4. 신청 방법 및 절차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 신청은 청년 채용 전 사전 신청을 해야 하지만,

채용 후 3개월 이내에 사후 신청도 가능합니다.

 

기업이  채용 전 미리 사업 신청을 하고, 채용한 뒤 6개월 고용유지 이후 2개월 이내에 지원금을 신청하면,

1회차 지원금이 나옵니다.

 

✅ 6개월차에 (1회차)지급 :  6개월  X 60만원 = 360만원

✅ 9개월차에 (2회차)지급:  180만원

✅ 12개월차에 (3회차)지급 : 180만원

                                   ==============

                                       합계: 720만원

 

고용24에서 근로자 본인이 직접 신청합니다.

근로자 본인 계좌로 입금됩니다.

 

✅ 근속 18개월차에 (1회차)신청:  240만원

✅ 근속 24개월차에 (2회차)신청:  240만원  

                                            ===============

                                             합계 : 480만원

   

5. 지원금 규모와 혜택

기업당 최대 900만 원(월 최대 75만 원, 12개월 간) 지원

청년 1인당 1회에 한해 적용되며, 고용유지 시 추가 지원 가능

정규직 전환율이 높은 기업은 가산점 부여 및 추가 인센티브 제공

기초고용질서 준수 기업에게는 행정지원 혜택도 제공

청년은 경력단절 없이 안정적으로 취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 인건비 부담을 줄이며 우수 인재 채용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6. 자주 묻는 질문(FAQ)

Q: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은 어디서 신청하나요?

A: 고용24(www.work24.go.kr) 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Q: 청년이 비정규직으로 입사했을 경우에도 지원 가능한가요?

A: 비정규직은 해당되지 않으며, 정규직 채용만 지원 대상입니다.

 

Q: 이미 고용 중인 청년도 대상이 될 수 있나요?

A: 신규 채용 청년만 지원 가능하며, 기존 재직자는 대상이 아닙니다.

 

Q: 청년이 중도 퇴사할 경우 장려금은 어떻게 되나요?

A: 고용유지 기간에 따라 일부 금액만 지급되며, 전체 지원은 제한됩니다.

 

Q: 장려금은 세금 신고 대상인가요?

A: 기업 입장에서 수익으로 잡히므로 세무 처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Q: 온라인으로만 신청 가능한가요?

A: 오프라인(고용센터)에서도 가능하지만 온라인 신청이 더 편리합니다.

 

Q: 신청 후 언제쯤 지원금을 받을 수 있나요?

A: 통상적으로 입사 후 3~4개월 이내 지급 결정 및 분기별 지급됩니다.

 

Q: 기존 내일채움공제 가입자는 중복 참여 가능한가요?

A: 동일 기간에는 중복 지원이 불가합니다. 중복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Q: 인턴 후 정규직 전환 시에도 장려금을 받을 수 있나요?

A: 네, 유형 2에 해당되며 전환 후 3개월 이상 고용 유지 시 장려금 신청 가능합니다.